728x90
반응형
SMALL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 Visual Studio 항상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는 법

1. Visual Studio 실행파일로 이동한다. 경로를 모르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찾아간다.

2. devenv파일을 찾았으면 해당 파일에서 우클릭 후, 호환성 문제 해결을 클릭한다.

3. 아래 이미지와 같이 순서대로 진행한다.

4. 프로그램 테스트를 클릭하지 않으면 다음이 안 눌리므로, 프로그램 테스트를 꼭 클릭하도록 한다.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 Visual Studio Professional 2019 설치 방법 

1. 아래 사이트로 가서 Visual Studio Professional 2019 파일을 다운로드한다.(MS 계정이 있어야 함)

    https://visualstudio.microsoft.com/ko/vs/older-downloads/

2. 2019 왼쪽 상단 화살표를 클릭하여 펼치고,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한다.

3.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MS에 로그인 창이 뜨는데, MS 계정이 있으면 로그인하고, 없으면 새로 만든다.

4. 로그인을 하면 다운로드할 수 있는 버전이 표시된다. (Visual Studio Professional 2019 다운로드)

5. 다운로드 한 Visual Studio Professional 2019 파일을 실행한다.

6. 아래 이미지와 같이 순서대로 진행한다.

7. 아래 이미지까지 넘어왔으면, C#을 사용할 것이기에 아래 이미지에 빨간 사각형이 있는 [.NET 데스크톱 개발]을 클릭하고 설치 버튼을 누른다.

8. 아래와 같이 설치가 시작된다.

9. 설치가 완료되면, Visual Studio 2019를 실행하고, [우측 하단에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계속]을 클릭한다.

10. 아래 이미지와 같이 [도움말 - Visual Studio 등록]을 클릭한다.

11. 아래 이미지와 같은 화면이 뜨면 [제품 키로 잠금 해제]를 클릭한다.

 

12. 구매했던 제품 키를 입력하면, 정식으로 Visual Studio Professional 2019를 사용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LIST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관리자 권한 실행 설정  (0) 2024.04.15
Visual Studio 2019 Professional 제품 키 변경 방법  (1) 2024.01.29
728x90
반응형
SMALL
Visual Studio 2019 Professional을 설치하고 사용하다가, 제품키를 변경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는데,
변경하는 방법은 쉽지 않았다.
제품키를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 구독을 하고 있는 경우, 레지스트리 삭제

1. 아래 이미지와 같이 [도움말 - Visual Studio 등록]으로 들어가서 나오는 창을 보면 [라이선스 제품 키 적용됨] 외엔 어디서도 제품키를 변경하는 부분은 없다.

    그러므로 레지스트리를 삭제해야 한다.

2. 실행(ctrl+r) 창에서 regedit를 실행한다.

3. HKEY_CLASSES_ROOT\Licenses 경로에서 [41717607-F34E-432C-A138-A3CFD7E25CDA]를 삭제한다.

    [2019 Professional registry key : 41717607-F34E-432C-A138-A3CFD7E25CDA]

4. 삭제하고 다시 들어가 보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변경된 것을 볼 수 있다. 구독을 하고 있다면, [아래 업데이트된 라이선스 확인]을 눌러서 갱신한다.

■ 제품키를 구매한 경우

1. Visual Studio를 삭제하고 재설치한다.

2. 설치 후, [도움말 - Visual Studio 등록]으로 들어가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제품 키로 잠금 해제]라는 항목이 보인다.

    클릭하여, 제품키를 입력한다.

728x90
반응형
LIST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관리자 권한 실행 설정  (0) 2024.04.15
Visual Studio Professional 2019 설치 방법 (C# 사용)  (0) 2024.03.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