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 Ubuntu(우분투) Server 22.04.2.LTS 설치 시 나오는 Featured Server Snaps 항목 설명

  1. mictok8s : Kubernetes(쿠버네티스)를 테스트 목적으로 사용해 보기 위해서 우분투가 제공하는 가벼운 배포판

  2. nextcloud : 구글 드라이브와 같이 문서를 저장, 편집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3. wekan : 오픈 소스 칸반(kanban)

  4. kata-containers : 초경량 VM으로 컨테이너처럼 작동하는 기술

  5. docker : 개발자가 모든 환경에서 해당 코드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소스 코드와 운영 체제(OS) 라이브러리 및 종속성을 결합하는

      표준화된 실행 가능 구성 요소인 컨테이너를 빌드, 배포, 실행, 업데이트 및 관리할 수 있는 오픈 소스 플랫폼

  6. canonical-livepatch : 재부팅 없이 주요 커널 패치 적용 가능

  7. rocketchat-server : 웹, 데스크톱 또는 모바일에서 실시간으로 안전하게 통신하고 다양한 플러그인, 테마 및 기타 주요 소프트웨어와의

      통합으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지정할 수 있는 오픈 소스 팀 채팅 협업 플랫폼

  8. mosquitto : MQTT 브로커

  9. etcd : key:value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10. powershell : powershell은 명령줄 셸 스크립팅 언어 및 구성 관리 프레임워크로 구성된 플랫폼 간 작업 자동화 솔루션

  11. stress-ng : 과부하 테스트 프로그램

  12. sabnzbd : 무료로 제공되는 간편한 바이너리 뉴스리더

  13. wormhole : 파일, 디렉터리, 텍스트 및 URL 공유 및 송수신 가능

  14. aws-cli : AWS 명령줄 인터페이스(CLI)는 AWS 서비스를 관리하는 통합 도구

  15. google-cloud-sdk : Google Cloud 제품 및 서비스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도구 및 라이브러리

  16. slcli : SLCLI는 SoftLayer API와 쉽게 상호작용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

  17. doctl : DigitalOcean을 사용하면 DigitalOcean CLI(doctl)를 통해 리소스를 관리

  18. conjure-up : 쿠버네티스와 다른 대형 소프트웨어 스택을 설정할 수 있는 전용 도구

  19. postgresql10 : postgresql 서버

  20. heroku : PaaS (Platform as a Service) 클라우드 플랫폼으로써, 서버, 프레임워크, OS 등 클라우드 상에서 제공해 주는 방식의 서비스로

         heroku에 애플리케이션을 업로드하면 프로젝트의 언어, 프레임워크 정보 등을 인식하여, 빌드, 서비스 배포까지 자동으로 해주는 플랫폼

  21. keepalived : 서비스의 가동 상태를 감시하는 소프트웨어로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하여 정지했을 경우, 그 서버로 오는 요청을 다른 가용 서버로

        할당하도록 하여 서비스가 정지하지 않고 무정지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

  22. prometheus : SoundCloud 사에서 만든 오픈 소스 기반 모니터링 솔루션

  23. juju : Ubuntu를 배포하는 Canonical의 오케스트레이션 툴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리눅스 파일 관련 명령어 정리
명령어 옵션은 실제로 정리된 것 보다 더 많으나, 공부한 것 위주로 정리해 본다.
명령어 --help를 치면 리눅스에서 제공하는 옵션 설명을 볼 수 있으니 알아두자.

 

● cat - 파일 내용 출력 및 병합 등

1. cat file :  file 내용 출력

2. cat file file1 : file, file1 내용 출력

3. cat file > new_file : file를 복사하여 new_file생성

4. cat file file1 > new_file : file, file1을 복사하여 new_file생성

5. cat file >> new_file : file의 내용을 new_file에 추가

6. cat > file : file의 내용을 직접 쓰고 저장, 기존 내용은 없어짐, 내용을 작성했으면 ctrl+c를 누르면 저장완료

7. cat >> file : 6번과 동일하나, 쓴 내용은 기존 file 내용에 추가

8. cat -n file : file 내용 왼쪽에 줄번호 표시

 

● cd - 디렉터리 이동

1. cd [디렉터리 명] : 디렉터리로 이동, 디렉터리 이름은 대소문자 구분

2. cd .. : 한 단계 위 디렉터리로 이동

3. cd / : 최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4. cd : 홈 디렉터리로 이동

5. cd - : 이전 경로로 이동

 

● cmp - 파일비교 (비슷한 명령어 : diff, diff3, comm)

1. cmp file file1 : file과 file1 비교, 첫 번째로 다른 점이 있는 곳 위치가 출력

2. cmp -b file file1 : 1과 동일, 추가적으로 서로 다른 문자까지 표시

 

● comm - 파일비교

1. comm file new_file : file과 new_file 비교

- file 내용

    file_new_file1

    file1

    file2

- new_file 내용

    file_new_1

    new_file1

    new_file2

    new_file3

- 두 파일을 비교하면 비교 내용이 표로 출력되진 않지만 공백으로 아래 표와 같이 비슷하게 출력이 됨

file 내용 new_file 내용 file과 new_file 같은내용
    file_new_file1
  new_file1  
file1    
file2    
  new_file2  
  new_file3  

 

● cp - copy의 줄임말로 복사 기능

1. cp -r folder folder1 : folder를 복사하여 folder1 생성 (하위 디렉터리와 파일 모두 복사)

2. cp -v folder folder1 : 1과 동일, 추가적으로 복사 진행 상태를 출력

  - 디렉터리 복사가 cp : -r not specified; omitting directory와 같이 메시지가 나오면서 안 되는 경우 -r 옵션이 빠져서 나오는 경우임

  - 이럴 경우 다음과 같이 입력 : cp -vr folder folder1 (옵션을 조합할 때는 -[옵션][옵션] 또는 -[옵션] -[옵션] 이런 식으로 사용)

3. cp -i file file1 : file를 복사하여 file1 생성, 파일이 존재하면 덮어쓰기 여부 체크 (y/n으로 덮어쓰기 여부 실행)

4. cp -f file file1 : 3번과 동일, 대신 강제로 덮어쓴다.

5. cp -p file file1 : 4번과 동일, 대신 file(원본파일)의 소유주, 그룹, 권한, 시간정보를 보존하여 복사

6. cp -a file file1 : 4번과 동일, 대신 file(원본파일)의 속성, 링크 정보를 보존하여 복사

 

● find - 파일 검색

1. find -name aaa :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aaa 파일을 검색

2. find -iname aaa :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aaa 파일을 검색

3. find ./test -iname aaa :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test폴더 안에서만 aaa 파일을 검색

 

● grep- 문자열 검색

1. grep "문자열" file : file안에 입력된 문자열을 검색

2. grep "문자열" * : 현재 디렉터리 안의 모든 파일에서 문자열 검색

3. grep "문자열" *.txt : txt확장자를 가진 모든 파일에서 문자열 검색

4. grep -i "문자열" *.txt : 3번과 동일하나 대소문자 구분 없이 검색

5. grep -w "문자열" *.txt : 3번과 동일하나 단어단위로 검색

6. grep -n "문자열" *.txt : 3번과 동일, 추가적으로 라인번호 출력

7. grep -r "문자열" *.txt : 3번과 동일, 하위 디렉터리까지 검색

 

● ls - 디렉터리 나열

1. ls -l : 권한 보기

2. ls -a : 숨겨진 파일이나 디렉터리까지 표시

3. ls -r : 알파벳 역순으로 출력

4. ls -R : 하위 디렉터리까지 출력

 

● mkdir - 디렉터리 생성

1. mkdir -p 폴더1/폴더2 : 존재하지 않은 폴더1안에 폴더2을 만들 때에는 앞에 -p 옵션 사용 

 

● mv - move의 약자로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위치를 이동 및 다른 이름으로 변경

1. mv folder1/file1 folder2 : folder1안에 file1을 folder2로 이동

2. mv folder1/file1 folder2/file1_mod : folder1안에 file1을 folder2로 이동하되, 이름을 file1_mod로 변경

3. mv -b folder1/file1 folder2/file2 : 이동할 파일이 이미 존재할 경우 백업파일을 만듦

4. mv -i folder1/file1 folder2/file2 : 이동할 파일이 이미 존재할 경우 덮어쓰기 여부 체크

5. mv -f folder1/file1 folder2/file2 : 이동할 파일이 이미 존재할 경우 강제로 덮어쓴다.

6. mv -r folder1 folder2 : folder1안의 하위 디렉터리까지 folder2로 이동

7. mv -v folder1 folder2 : folder1을 folder2로 복사할 때, 복사 진행 상태를 출력

 

● rm- 파일/디렉터리 삭제

1. rm file, file1, file2 : 파일 여러 개를 한 번에 삭제

2. rm -d 디렉터리 : -d를 붙이면 디렉터리 삭제, 디렉터리 안에 파일이 있으면 삭제 안됨

3. rm -r 디렉터리 : -r을 붙이면 디렉터리 안에 있는 파일까지 같이 삭제

 

● sort - 파일의 내용을 정렬

1. sort file : file안의 내용을 정렬

2. sort -r file : file안의 내용을 역순으로 정렬

3. sort -n file : 문자와 숫자가 있을 시, 문자 우선으로 정렬

 

● touch - 빈 파일 생성

1. touch file1 : 파일이 없는 경우에 file1 생성

2. stat file1 : 파일의 atime(access time), mtime(modification time)을 확인

3. touch -a file1 : atime 변경

4. touch -m file1 : mtime 변경

5. touch -mt 202306180000.00 file1 : file1 mtime을 2023-06-18 00:00:00으로 변경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Ubuntu Server 22.04.2.LTS 설치하는 방법을 포스팅하였으니,
이번에는
Desktop 22.04.2.LTS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 VMware 설치

1. VMware 설치 방법 (VMware Workstation Pro17 기준) : VMware Workstation Pro 17 설치 방법

 

■ Ubuntu Desktop 다운로드

1. VMware에 Ubuntu Desktop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iso파일이 필요하다. Ubuntu iso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사이트로 이동한다.

  - Ubuntu Desktop 다운로드 사이트 : https://ubuntu.com/download/desktop

2. 우측 하단에 Download 22.04.2를 클릭한다.

Ubuntu Deskup Download 화면

 

■ VMware에 Ubuntu Desktop 설치

1. VMware 실행 후, ubuntu-22.04.2-desktop-amd64.iso를 인스톨한다.

VMware에 Ubuntu Desktop 설치

2. 아래 순서대로 VMware를 설정한다.

- Linux에 사용할 로그인 정보, 비번 등을 설정한다. (Ubuntu 설치할 때 다시 설정하는 부분이 있어서, 이 설정은 의미 없음)

- Virual machine name(가상머신이름), Location(파일이 풀어질 위치)을 설정한다.

- 하드디스크 기본용량을 설정한다.

- 설정을 완료했으면 Finish

VMware Ubuntu Desktop 설치 순서 및 방법

3. VMware세팅이 끝나면 Ubuntu Desktop을 아래 순서대로 설정한다.

- Keyboard layout을 설정한다. 원하는 언어를 클릭하여 설치한다. (Korean도 있지만 나는 English(US)을 선택하여 설치)

- 2번째 이미지에서 Install third-party.... 가 기본적으로 체크가 해제되어 있는데 이 부분을 체크한다.

- 지역설정을 서울로 바꾸면 시간이 서울시간으로 변경된다.

Ubuntu Desktop 설치화면

4. Ubuntu에서 사용할 로그인 정보를 입력한다.

5. 4번까지 설치를 하고 재부팅을 하면 Ubuntu 설치완료

- 4번에서 설정한 로그인정보를 입력하고 들어가면 Ubuntu를 사용할 수 있다.

Ubuntu Desktop 설치완료 화면

 

(참고) Server와 차이점

- 초기 인스톨하면 GUI가 제공된다.

- Server에 비해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것들이 많아, Install 시간이 서버보다 오래 걸린다.

- Ubuntu(우분투) Server 22.04.2.LTS 설치 방법 : Ubuntu(우분투) Server 22.04.2.LTS 설치 방법

728x90
반응형
LIST

'Linux_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atured Server Snaps 항목 설명  (0) 2023.06.21
리눅스 파일 관련 명령어  (0) 2023.06.19
Ubuntu(우분투) Server 22.04.2.LTS 설치 (VMware)  (0) 2023.05.29
728x90
반응형
SMALL
Vmware 설치 및 Vmware에 Ubuntu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 VMware 설치

1. VMware 설치방법 (VMware Workstation Pro17 기준) : VMware Workstation Pro 17 설치 방법

 

■ Ubuntu Server 다운로드

1. VMware에 Ubuntu Server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iso파일이 필요하다. Ubuntu iso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사이트로 이동한다.

  - Ubuntu 다운로드 사이트 : https://ubuntu.com/download/server

2. 중간에 Download Ubuntu Server 22.04.2 LTS를 클릭한다.

Ubuntu Server 다운로드 화면

■ VMware에 Ubuntu Server 설치

1. VMware 실행 후, ubuntu-22.04.2-live-server-amd64.iso를 인스톨한다.

- Create a New Virtual Machine 선택한다.

- Browser를 클릭하고, iso 파일이 있는 곳으로 가서 Image 삽입한다.

- Virual machine name(가상머신이름), Location(파일이 풀어질 위치)을 설정한다.

- 하드디스크 기본용량을 설정한다.

- 설정을 완료했으면 Finish (이미지 미첨부)

VMware 기본 설정

2. Try or install Ubuntu Server 선택, 원하는 언어를 선택한다.(나는 English를 선택)

Ubuntu Server 설치 및 언어 선택

3. 새로운 Installer로 업데이트하고 싶으면 Update to the new installer, 그렇지 않으면 Continue without updating 선택한다.

    키보드 또한 원하는 것을 선택한다. (나는 Installer는 Continue without updating, 키보드는 English 선택)

Installer Update여부 및 키보드 언어 선택

4. 인스톨 타입은 Ubuntu Server 선택한다. 네트워크 관련해서는 고정 IP로 설정하고 싶으면 빨간 박스에서 엔터를 눌러 설정을 변경한다.

    (나는 그냥 초기 설정 값으로 Done)

Install 타입 및 네트워크 설정

5. proxy 서버가 있으면 proxy 서버 주소를 입력한다. mirror 주소도 국내로 변경하고 싶으면 변경할 주소를 입력한다.

    (나는 따로 변경하지 않고 Done)

- proxy 서버 :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접속할 때 바로 접속하지 않고 중간에 대신 전달해 주는 서버 (보안 등에 용이)

- mirror 서버 : Ubuntu에서 패키지를 다운로드할 때 사용되는 서버, 아래는 국내 사이트로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 카카오 : http://mirror.kakao.com/

  - 카이스트 : http://ftp.kaist.ac.kr/

Proxy 및 Mirror 서버 설정

6. Storage를 설정한다. (나는 기본값으로 진행)

Storage 설정

7. Ubuntu 로그인할 때 사용하는 정보로 서버 이름 및 비밀번호 설정한다. Upgrage관련해서는 Skip for now를 선택한다.

로그인 정보 및 Upgrade 설정

8. Install OpenSSH server 선택, Snap관련해서는 Done 선택한다.

- SSH : Secure Shell의 줄임말로 원격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Telnet과 비슷하나 Telnet은 암호화가 이루어지지 않음

- FeaturedServerSnaps 설명 : FeaturedServerSnaps

SSH 및 Snaps 설치 여부 설정

 

■ Ubuntu Server 실행

Ubuntu Server에 로그인된 화면

- 위에서 설정했던 login // password를 입력하면 위와 같이 로그인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참고) Desktop과 차이점

- 초기 인스톨하면 GUI가 제공되지 않는다.

- 필요한 것만 Install 되기 때문에 용량도 적고, Install 시간도 빠르다.

- Desktop 설치방법 : https://200-rush.tistory.com/entry/UbuntuDesktop22042LTS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